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564)
책 그리고 글 (87)
미래 빚어가기 (79)
시간/행동 관리 (44)
조직을 말한다 (16)
마케팅 노트 (14)
짧은 생각들 (33)
사랑을 말한다 (27)
세상/사람 바라보기 (40)
그밖에... (83)
일기 혹은 독백 (85)
신앙 이야기 (24)
음악 이야기 (19)
법과 특허 이야기 (13)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08. 3. 16. 08:09
예한이가 출판 작가(Published author)가 되었습니다 ^^;; 지난주 수요일에 출판 기념회에 다녀왔지요.

ㅎㅎ 여기까지 이야기하면 대단한 것 같은데... 그렇게 큰 일은 아닙니다. 제가 앤도버라는 동네에 사는데, 앤도버를 포함한 여섯개의 인접타운에서 발간하는 문예지가 있습니다. 초등학생 대상으로는 Apple Seed가 있고 중학생 대상으로는 Apple Sauce가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은 간행물은 없고 파티 형식의 행사를 합니다.

담당 교사의 추천을 받은 작품들을 모아 심사를 거쳐 일년에 한번 문학 작품, 그림, 사진을 모아 정기간행물을 만드는 것이지요. 지역의 학생문예지고 거기 실린다고 정말 문단에 데뷔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 그래도 당사자는 물론 가족들도 굉장히 기뻐합니다 (이쪽 분위기가 원래 그렇습니다. 작은 것 하나에도 정말 기뻐하고 칭찬하고... ^^)

다같이 모여 각자 순서가 되면 앞에 나가 자신의 작품을 읽거나 설명을 하지요. 아래 예한이처럼요 ^^;;

01


War
by 이 예한

The blast ripped through Japan,
The perfect combination of power and beauty,
An artist's impression of the Apocalypse.

Spawned from the depths of Hell,
Lives changed from the press of a button,
People killed from the openings of a hatch.

The gates of Hades had flung wide,
The horrs of Hiroshima.

일본 전체를 관통한 폭발,
무력과 아름다움의 완벽한 조합
예술가 인상 속의 대참사

지옥 깊은 곳에서 잉태되어진듯,
단추 하나 누름으로 운명이 달라지고,
문이 열림으로 사람이 죽어간다.

하데스의 문이 활짝 열렸던,
히로시마의 공포


제가 번역을 한번 해봤는데 쉽지 않네요. 짜식~ 어려운 단어를 써가지고는 ㅡ.ㅡ;;;

이 행사에서 인상 깊었던 것이 있었습니다. 미국은 동네마다 빈부의 격차가 심합니다. 한국 사람 입장에서 보면이해가 안 갈 정도로요. 맨하탄 바로 옆에 슬램가가 있는 것과 같다고 할까요. 근처에 로렌스라는 동네가 있습니다. 지휘자 번스타인의 고향임을 자랑하는, 산업화 시기에는 잘나가던 동네였지만 지금은 위험한 동네중의 하나가 되어버렸습니다. 그쪽 학교의 아이들이 쓴 글을 잠깐 소개해봅니다. 중학생 나이에 이런 글을 쓴다는 것이, 그리고 그것이 상상이 아니라 현실이라는 것이 참 서글펐습니다.

The Night
by Gladys Gitau

...
Gunshots are fired every day,
The bullets kill to ruin your day,
These past nights have been frightening.

You hope Batmand will save your day,
But remember, he's not real, okay?
These past nights have been frightening.

I am unfortunate,
I can't say I'm fortunate,
I live in a box,
I can't afford socks,
These past nights have been frightening.
...

<앞부분 생략>

총소리는 매일 들린다
너의 하루를 망치며 총알은 사람을 죽인다.
요 며칠밤은 정말 무서웠다.

너는 배트맨이 구해주기를 바라겠지.
하지만 그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아, 알아?
요 며칠밤은 정말 무서웠다.

나는 불행하다.
내가 행복하다고 나는 말할 수 없다.
나는 상자안에서 산다.
난 양말도 제대로 못신는다
요 며칠밤은 정말 무서웠다.

<후략>


이날 자신의 작품을 읽은 삼십여명의 아이들중, 유일한 동양인이 예한이라는 것은 저한테 여러가지 느낌을 주었습니다. 영어로 미국 아이들보다도 더 좋은 작품을 쓸 수 있는 예한이에 대한 자랑스러움과, 반면 이 아이가 한국말로는 이런 작품을 쓸 수 없을 거라는 아쉬움이 동시에 느껴지더군요. 또 그렇게 우리 사이에는 언어로 인한 넘어설 수 없는 차이가 생기는 것 같기도 하구요. 하지만 누가 고집부려 생겼던 상황도 아니기에 그냥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전에 적은 글처럼 이곳에서 마이너로 살지 않고, 메이저로 자라기 위해 이곳 사람들보다 영어를 더 잘 할 필요가 있으니까요. 더불어 모든 아이들의 입을 통해 아름다운 시와 수필이 읽혀지기를 바라는 마음도 들었습니다. 열살 갖넘은 아이가 앞에 소개한 그런 시를 쓰는 세상은 너무 참담하니까요.

** 어쩌다 보니 큰 아이에 대한 글만 썼습니다. 혹시 몰라 말씀드리는데 편애하는 것 아닙니다. 조만간 너무나 예쁜 제 딸아이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2008. 3. 13. 12:54
최근에 서평을 적은 Time Management에서는 시간 도둑중 가장 심각한 것이 '미루는 습관'이라고 합니다. '오늘 할 일 내일로 미루자'처럼 일 진행을 느리게 하는 것도 없지요. 일은 일대로 안됩니다. 그렇다고 잊혀지지도 않습니다. 한편에는 죄책감과 스트레스가 쌓이게 됩니다.

미루는 경우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가 '일 자체가 재미없거나 하기 싫음', '실패에 대한 두려움', 혹은 '무엇부터 해야하는지 모르는 것'이라고 합니다.

첫째, 일 자체가 재미없거나 하기 싫은 경우, 끝까지 미루는 게 보통 사람의 마음일겁니다. 이걸 어떻게 극복할까요? 가장 쉬운 방법은 (가능하다면) 남에게 떠 넘기는 방법입니다 ^^;;; 물론 내가 하기 싫으면 남도 하기 싫어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럴 수 없다면 꾹 참고 해야지요. 이런 표현이 있습니다. "개구리를 먹어치워라" 개구리를 먹는 걸로 하루를 시작한다면, 그 날의 나머지는 더 좋아질 수 밖에 없다는 거지요 ^^;; 하기 싫었던 일을 마쳤을 때의 기쁨을 생각하고 해치워버리라는 겁니다. 또 다른 방법은 도망갈 수 없는 상황을 만드는 겁니다. 예를 들어 부하직원에게 싫은 소리를 해야 할 때, 미팅 약속을 잡고 어떤 것에 이야기할지 미리 언질을 해버리는 겁니다.

둘째,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주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그 두려움을 직면해야 합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일을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을 세우는 겁니다. 데이비드 알렌은 Getting Things Done에서 '일이 지척거리는 이유는 시간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무엇을 해야할지 명확하게 정의도지 않아서다'라고 지적합니다. 단계별로 할 일이 뭔지, 그리고 가장 먼저 할 일이 무엇인지 확실히 정의한다면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셋째, 어디에서 시작할지 모르는 경우 미적거리게 됩니다. 이 경우의 해결책도 두번째와 비슷합니다. 큰 일을 조목 조목 쪼개고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찾다보면 실마리가 생길 겁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일단 뛰어드는 거죠 ^^;;

근데 저를 관찰해 보면 책에서 소개하지 않은 또 하나의 원인이 있는 것 같습니다. 너무 산만한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생각이 분산되다보니, 여러가지 일에 동시에 손을 대고, 그러면서 몇가지 일은 자연스레 잊혀져버립니다. 미루려고 해서가 아니라 저절로 밀려나는 거지요. 거기다 앞의 세가지 원인 중 한두가지가 겹쳐지면, 상태가 심각해집니다. 한정없이 축~ 늘어집니다.

개인적으로 산만함이 심각하다 생각되어 요즘 고치려고 애를 많이 씁니다. 해결책은 의외로 단순한데 있습니다. 실천하지 않아서 문제지요. 그건 미루지 않고 바로 "지금" 해버리는 겁니다. 읽지는 않았지만 이런 책이 있더군요. "The Now Habit: A Strategic Program for Overcoming Procrastination and Enjoying Guilt-Free Play". 제목만 봐도 내용이 짐작 가지 않나요? '바로 지금' 해버리는 것을 습관화시키는 겁니다. 그런 점에서 제 아내에게 배울게 있습니다. 플래너다 뭐다 하면서 요란을 떨어도 저는 빠뜨리는게 수두룩한데, 아내는 수첩의 달력 하나 가지고도 모든 걸 관리합니다. 생각나면 미루지 않고 바로 해버리기에 가능한 것 같습니다.

혹시 미루는 습관 가지고 계신 분. 왜 그런지 원인을 생각해 보시고, 바로 "지금"의 원칙을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훨씬 나아지는 것을 발견하시게 될 겁니다 ^^;;


2008. 3. 11. 04:59
egoing님의 책 더럽게 돌려보기를 읽고 한번 적어 봅니다.

전 책에 대해 결벽증이 심했습니다. 책이 물에 젖으면 종이가 불어 좀 뚱뚱해지죠. 그럼 가차없이 새로 사버렸습니다. 물론 종이를 접어서 표시도 안했구요. 요즘도 그런 심정적인 결벽증은 남아있습니다만... 책을 지저분하게 보고자 생각을 바꾼지 꽤 되었습니다.

최근 적용하는 선정 원칙이 있습니다.

1. 읽을 가치가 없는 책은 읽지도 말자
2. 가치가 있는 책은 꼭 사서 읽자

이 두가지 원칙의 조합으로... 책으로 인한 지출이 좀 늘어났습니다 ㅡ.ㅡ

그리고 책을 읽을 때, 펜(개인적으로 만년필만 고집합니다)과 형광펜 둘다, 최소한 둘중 하나는 가지고 가차없이 표시를 합니다. 중요하다 생각하는 것에 밑줄 쫙~은 기본이고, 생각나는데로 옆에 메모도 합니다. 최근에는 건방이 늘어 "일반화의 오류", "이건 오버다", "그래서 어쩌라고" 등의 멘트도 달아놓구요 ^^

그래서 요즘에 본 책들은 다시 봐도 기분이 흐믓합니다. 원하는 내용을 찾기도 쉽구요. 만약 기회가 된다면 맘에 맞는 분들끼리 '더럽게 돌려보기'를 실천해 보는 것도 재밌을 것 같습니다. ^^


2008. 3. 10. 07:51
Time Management (Paperback) - 8점
Not Available/Perseus Distribution Services

MBA의 Top 3를 뽑는다면 항상 들어가는 하버드 MBA는 MBA course 뿐만 아니라, 출판사인 HBS로도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HBR(Harvard Business Review)은 비즈니스 관련 정기간행물 중 독보적인 존재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출판사에서 펴내는 여러가지 시리즈중 Business Essentials이 있습니다. 경영/관리/리더십/전략등의 분야에 대해 필수적인 사항을 잘 요약해놓은 시리즈입니다. 특정 분야에 대해 공부를 시작하려 할 때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한국에는 인력관리에 대한 책 말고는 번역되어 있는게 없더군요. 갈수록 비즈니스 서적의 수요가 늘어나는 것을 보면 누군가 이 시리즈를 소개해도 괜찮은 장사가 될 것 같은데 말입니다. ^^

이 시리즈에서 시간관리를 다루었다는게 흥미가 생겨 이 책을 구입했습니다. 시간관리는 예전부터 자기계발의 중요한 분야입니다. 시간관리만 전문적으로 다룬 책도 꽤 많고, 또 많은 자기계발 서적에서 시간을 잘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강조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경우 시간관리를 개인적인 영역에서 다루고 있지요. 출발점이 자기계발이니까요. 이번에 소개하는 이 책이 다른 점이라면, 기본적인 공통원칙에서 출발하기는 했지만, 시간관리를 회사나 조직의 관점에서 봤다는 것입니다.

시간관리의 기본원칙이라면 목표확립, 시간 소비 패턴 체크, 우선순위 조정, 시간 낭비 요인 제거등을 들수 있지요. 이 책도 그런 기본적인 원칙에서 출발을 합니다. 관련서적 한두권 읽었다면 좀 지루할 수도 있습니다만, 제 경우에는 체계적으로 정리된 것을 다시 읽어보는 재미도 쏠쏠했습니다. ^^;;;

1장 목표를 가이드로 사용하자 (Use Goals as a Guide)
2장 시간을 어떻게 쓰는가? (How you spend your time)
3장 시간계획 수립 (Scheduling your time)
4장 시간 도둑들 (Time robbers)

등을 통해 앞에서 이야기한 시간관리의 기본 원칙들을 설명합니다. 물론 단지 원칙만 나열하는게 아니라 풍부한 예와 함께 제시됩니다. 그 기반위에 조직 차원에서의 시간관리를 설명합니다.

5장 권한 위임을 통해 시간을 만들자 (Delegation)
6장 보스가 시간 도둑일 때 대처법 (The time-wasting boss)
7장 시간관리의 개인적인 면 (The personal side of time)
8장 회사가 무엇을 해줄 수 있는가 (What companies can do to help)

를 통해 조직의 입장에서 시간관리를 바라봅니다. 기존의 시간관리가 개인적인 면에서 바라본 것이였든데 비해 7장에서 '개인생활의 시간 활용도 중요하다'라는 점에서 개인적인 면을 다루는 것이 책의 관점을 잘 드러낸다 할 수 있습니다. 보스가, 명확한 목표를 안준다거나 불필요한 미팅을 자꾸 함으로, 시간을 자꾸 뺐는다면 어떻게 해야하나도 재밌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미국문화에서도 보스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은 쉽지 않은가 봅니다. 보스의 성격(성깔? ^^)을 잘 파악해서 사용하라 충고하네요 ^^;

책은 단촐합니다. 전체가 120 페이지이고 중간 중간 도표와 별도 박스를 통해 강조와 요약을 잘 해주기 때문에 읽는데 부담은 없습니다. 다만 많은 내용이 자기계발의 관점에서나 관리의 관점에서 이미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이 분야에 대해 공부를 하셨던 분들에게는 새로운 내용이 별로 없다는 것이 단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조직의 관점에서 시간관리를 다룬 책이 많이 없는 점을 감안한다면 인사나 혁신등 관련 부서에서 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관련서적을 읽어보지 않은, 시간관리를 새로 시작하려는 직장인에게도 추천합니다. 반면 조직활동을 하지 않는 분에게는 별 도움이 안 될 것 같네요.

'책 그리고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한이의 문단 데뷔  (10) 2008.03.16
요즘 제가 책 읽는 방법  (18) 2008.03.11
[서평] 글쓰기의 전략  (10) 2008.03.03
[서평] 당신의 책을 가져라  (18) 2008.02.20
'어린 달님'의 기억  (2) 2008.02.18


2008. 3. 8. 11:38
둘째날 일이 생각보다 일이 일찍 끝나 그곳에 사는 사람에게 좋은 식당을 소개시켜달라고 했습니다. 프랑스의 다른 지역에서 출장온 동료이 차가 있어 그 차를 얻어 타고 다니는데, 이 친구가 먹성이 굉장히 좋습니다.

둘이서 뭐라 뭐라 암호로 (저에겐 그렇게 들리지요 ㅡ.ㅡ) 말을 하더니 지도까지 그립니다. GPS로 잡을 수 없다나요. 어쨋든 찾아 가기로 했습니다. 멀지는 않았습니다만, 막판에는 이상한 길로 들어가서 꽤 올라갑니다. 나중에 알았는데, 아침에 출근하면서 봤던 바로 이곳이였습니다. 아쉽게도 밤이라 그 멋지다는 경치를 볼 수 없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식당은 꽤 큰 편이지만 사람들은 많이 없었습니다. 자리를 잡고 주인과 이야기를 좀 하더니 동료가 굉장히 좋아라 합니다. 프랑스에서 아주 유명한 요리사가 있는데, 여기 주인이 그 사람 제자랍니다. 원래 이 곳에서 처음 독립했는데, 4년전에 다른 사업에 손을 대며 팔았다고 합니다. 근데 그 사업은 잘 안되고, 또 이 식당을 산 사람은 요리를 잘 못해 손님이 다 떨어졌다지요. 다시 이 식당으로 돌아온지 얼마 안되었다고 합니다. 정말인지는 모르겠지만 한창 때는 두달전에 예약을 했어야 한다고 하니, 제가 운이 좋았다고 생각해야죠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얼마전 올린 "좋은 요리는, 처음부터 그 요리를 대접할 친구에 대한 우정이 전제되어 있지 않다면, 만들어질 수 없다"라는 말을 이 주인의 스승이 했답니다. 벽에 크게 쓰여져 붙어있더군요. 같이 간 동료에게 물어봤습니다. 그 요리사가 그렇게 유명하냐고. 유명하답니다. 이해가 좀 안가더군요. '대령숙수'라면 모를까 ^^ 사람들이 요리사의 이름을 다 기억하는 경우는 한국에는 없으니까요. 프랑스에서는 드문 일이 아니랍니다. 전국민에게 유명한 요리사들이 있다는 거죠. 한국에서 앙드레김 기억하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되겠죠? 어쨋든 그만큼 프랑스인들이 요리를 좋아하는가 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테이블 세팅은 간소했습니다. 세워지게 만든 칼이 특이하더군요. 식당 전체도 깔끔하고 좋았는데 너무 어두워서 제대로 찍힌 사진이 없네요.

메뉴를 들고 왔습니다. 역시 저에게는 암호였지만, 동료가 있으니 걱정이 없습니다. 물어 봤습니다. "프랑스 말고 다른 곳에서는 먹을 수 없는 요리가 뭐냐?" (약간 신기하다는 듯이) "호~ 그래" 그러더니 메뉴를 몇가지 해석해 줍니다. 달팽이가 나오고, 몇가지 모르는 거를 부른 다음에, 마지막에 '포 그라 (Foie Gras)'라는 것을 말하더군요. 포 그라가 뭐냐 물으니까, 그게 뭔지 모른다면 무조건 먹어보랍니다. 도데체 뭘까 0.5초 고민하다가 "OK"했습니다. "Why Not?" ^^;; 포 그라는 Entree라더군요. 애피타이저보다는 좀 크지만 메인은 아닌. 메인은 이것저건 이야기하다 조금 안전한 새우를 골랐습니다.



그 사이에 간식거리로 빵과 멸치가 나왔습니다. 멸치 모양이 참 친숙하지요 ^^;; 맛은 약간 찝찌름한게 괜찮았습니다. 천천히 음미하며 한 세개 먹었는데 벌써 통이 비었습니다. 같이 간 친구 참 열심히 먹게 생겼죠?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다리던 포 그라가 나왔습니다. 혹시 프랑스 사람들이 거위 간 먹는다고 들어보셨나요? 바로 그겁니다. 아랫쪽에 동그랗게 보이지요. 그걸 조금 퍼다가 빵위에 발라 먹는 겁니다. 맛은... 뭐랄까요. 치즈랑 비슷하다고 할까요? 기름지기 때문에 약간 느끼하지만 그래도 심하지는 않았습니다. 결국 맛있게 다 먹었습니다. 음... 지금 생각하면 마지막에 김치 생각이 나긴 했던 것 같습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메인인 새우가 나왔습니다. 난 새우를 사용한 요리, 즉 파스타나 뭐 이런 거를 생각했는데 말 그대로 새우더군요. 매콤하게 요리한 새우도 맛있었습니다만, 같이 나온 야채(콩줄기와 아스파라거스)가 참 맛있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먹고나니 벌써 식당 들어온지 한시간 반이 되었습니다. 그래도 디저트를 빼놓을 수 없지요. 전날 먹은 초코렛 무스가 너무 달았기에 좀 안단 걸로 추천해달라 했습니다. 그래서 나온게 이겁니다. 이름은 '크림 뮬' 뭐 이랬던 것 같습니다. (사진 초점이 안 맞았네요 ㅡ.ㅡ) 아래에는 크림이 깔려있고 그 위에 얇게 설탕막이 덟혀있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적당히 달면서 참 부드럽습니다. 동료도 같은 것을 먹었는데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하더군요. 근데 우연하게 다음날 같은 디저트를 또 먹었는데 그 친구가 '어제 먹은 거랑 비교가 안되지?'라고 하더군요. 제 입맛에는 둘다 비슷했는데 말입니다 ㅡ.ㅡ

어느덧 밤 열시반이 되었습니다. 두시간 걸리더군요. (참고로 세번 저녁을 먹었는데, 세번다 두시간씩 걸렸습니다 ㅡ.ㅡ) 가격은 꽤 쎘습니다. 둘이 먹은게 95유로. 와인이라도 한잔씩 했으면 100유로를 훌쩍 넘었겠지요. 나중에 경비 정산할 때 눈치한번 받을 것 같습니다. ㅡ.ㅡ

제가 갔던 그레노블이라는 동네가 전혀 관광 목적으로는 갈 곳이 아니라 들르실 일이 별로 없겠지만, 그래도 어쩌다 들르실 분을 위해 명합을 찍어 올립니다. 주인 말대로 다시 시작한지 얼마 안되었나 봅니다. 이름을 직접 써주던구요. 몇달 지나고 가면 예약 없이 못들어 갈 수도 있습니다. 빨리 가셔야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