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564)
책 그리고 글 (87)
미래 빚어가기 (79)
시간/행동 관리 (44)
조직을 말한다 (16)
마케팅 노트 (14)
짧은 생각들 (33)
사랑을 말한다 (27)
세상/사람 바라보기 (40)
그밖에... (83)
일기 혹은 독백 (85)
신앙 이야기 (24)
음악 이야기 (19)
법과 특허 이야기 (13)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4/10'에 해당되는 글 6건
2014. 10. 30. 10:17
페이스북이나 블로그를 통해 제 글을 접한 분들은 목사나 교회에 대한 비판을 보며, 제가 교회에서 소란깨나 일으키는 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반대입니다 (근데 남들은 그렇게 생각안하면 어쩌죠? ^^). 부족하지만 나름 교회와 목회자를 섬기려 애씁니다. 소위 '목사편'으로 보일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건 출석하는 교회 목회자에 대한 제 자세가 항상 '비판적 지지'이기 때문입니다. 질서를 위해 목회자가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각자 역할이 있는데, 그 역할을 넘어서 다른 이의 영역에 감 놔라 배 놔라 하면 질서가 무너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질서를 위해 리더를 존중하고 지지합니다. 아무래도 교회 생각은 리더가 많이 할테니 말입니다. 

하지만 거기서 멈춥니다. 목회자가 평신도에 비해 하나님과 더 가깝다거나, 하나님이 목사에게만 부여한 특별한 영적권위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목회자 욕하면 벌 받는다는 두려움 그런거 전혀 없습니다. 

오랜 교회 생활과 여러 아픈 경험을 통해 정한 자세입니다. 전 이 태도가 성경적이며 또한 합리적이라 믿습니다. 목사를 하나님의 종이라 생각하며 잘못을 무조건 덮으려는 신도들 때문에 한국교회가 저 모양이 되었습니다. 반면 목사 별거 아니라며 질서를 깨뜨리는 자세 또한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간단하진 않습니다. 남의 교회 교인들에게 훈계 두는 건 쉬운 일이지만, 내 교회 목사와 관련된 일이면 어떤게 옳은 태도인지, 어디까지가 비판이고 어디까지가 비난인지, 어디까지가 순종이고 어디까지가 맹종인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전 이 자세를 항상 유지하려 노력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겁니다. 바라기는 '지지'의 영역에 남는 것이지만, 아쉽게도 '비판'해야 한다면 애정어린 비판을 할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멈추게해야 할 때는 멈추게도 해야겠지요.




2014. 10. 24. 14:03

다음에서 메일이 왔더군요. 제 블로그에 올린 글 중 존 비비어의 <순종>에 대한 평이 피해자의 권리를 침해했다고 신고가 들어왔답니다. 신고자 이름을 보니 '한국인터넷선교네트워크'네요. 오랜만에 보는 이름입니다. 


누구를 비판했었지 생각이 안 나더군요. 페이스북에 썼던 글을 기반으로 포스팅했었기에 페이스북을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문장이 보입니다. 


"실로 한국 목사들이 좋아할 만한 책이다. 쌍수를 들고 환영하겠지. 이렇게 교인들을 세뇌시켜왔기에 조용기나 오정현 같은 자들이 생겨난 것이다. 이 책대로라면 조용기의 횡령을 도와주는게 마땅한 순종의 훈련이니까 말이다." 


이 문장이었을 겁니다. '조용기의 횡령.' 그런데 이게 참 웃긴게 조용기가 횡령으로 3년 징역 실형 받은 거는 이미 뉴스 보도가 된 사실입니다. 혹시 집유 5년에 벌금 50억 내고 감옥에 안갔다고 무죄판결이라도 받았다 생각하나 본데 분명 실형입니다. 세상 다 아는 걸 가지고 블로그 글 몇개 내려서 뭘 하겠다는 건지 모르겠네요. 


이 단체는 예전부터 유명했지요. 대형교회 목사들이 뒷돈을 대는지 조용기, 김홍도, 곽선희 이런 인물들에 대한 비판이 있으면 신고해서 일단 글을 내리게 만들죠. 하지만 이의신청을 하면 반박조차 제대로 못하는 곳입니다. 반박할 수가 없지요. 비판하는 내용이 사실이니까요. 


그럼에도 단체 이름에 '선교'를 집어넣고 지랄들을 하십니다. 아. 죄송. 아까 감정대로 썼다가 지우고 다시 쓰는데 아직 흥분이 가라앉지 않네요. 한국 기독교가 얼마나 엉망이기에 이런 단체들이 날뛰고 있는지. 이러고 혹시 자기들이 하나님의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진 않겠죠? 설마 그럴리가요. 그냥 돈받고 하는 거라 믿겠습니다. 하여간... 


정말 한심한 지경입니다. 이 꼴을 어째야 할까요 ㅡ.ㅡ


==============


이 글을 혹시 보게될 한국인터넷선교네트워크 관계자에게 알립니다. 원본을 저장해놨기에 블라인드 요청해야 다시 올리면 그만입니다. 내 글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비겁하게 뒤에서 그러지 말고 나를 직접 고소하기 바랍니다. 다만 내가 직업이 변호사라 법을 좀 압니다. 그러니 덤빌 때는 잘 준비해서 덤비시길. 그리고 왠만하면 이름에서 '선교'는 없애길 부탁드립니다. 예수님의 지상명령입니다. 개나 소나 달고 있을 이름이 아닙니다. 






'신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판적 지지  (2) 2014.10.30
동성애, 차별, 역차별  (3) 2014.10.14
[간단평] 위기에 처한 복음주의  (0) 2014.09.24
어떤 상황에서든 감사합니다  (0) 2014.08.31
청년에게 권하는 5권의 신앙서적  (3) 2014.08.21


2014. 10. 22. 13:03

데이비드 알렌은 새로운 책 Making it All Work에서 제어와 관점 두개의 축을 이야기합니다. GTD v1.0과 v2.0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바로 관점의 적용입니다. 이전 버전에서 관점을 이야기하지 않았던 건 아닙니다. 관심의 지평선(Horizons of Focus)라고 이야기 했었지요. 활주로(Runway)가 나오고 10,000피트, 20,000피트 등으로 높이에 따라 관심의 대상을 다르게 설정했습니다. 


GTD v2.0에서 말하는 관점(Perspective)은 관심의 지평선을 확대및 세밀화한 결과입니다. 잠시 복습을 하면 높은 정도의 제어/낮은 정도의 제어 그리고 높은 정도의 관점/낮은 정도의 관점에 따라 네개의 영역으로 나눌수 있다고 했습니다. (GTD v2.0 #3 - 제어와 관점, 두개의 축 참조). 제어도 잘 안되고 관점도 제대로 정립안되어 있을 때 (예: 프로젝트 초기 단계),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희생자가 될 수도 있고 반응자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관점이 잘 정립이 되어 있다는 건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질문이 생깁니다. 막연한 느낌이야 들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할 것인가 이 부분에 대한 답을 다루는 것이 GTD v2.0의 '관점'입니다. 


우선 생각해야할 관점을 여섯개로 나눕니다. 다음 할일, 프로젝트, 관심 영역 및 역할, 목적과 목표, 비전, 의미와 원칙 이렇게요. 그리고 각 관점별로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 어떻게 생각을 담아 둘건지, 그리고 얼마나 자주 리뷰하고 개입해야 하는지를 말합니다. 


비전을 말하고 의미와 원칙을 말하지만 GTD v2.0은 여전히 Bottom-Up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일곱가지 습관의 Top-Down 접근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단적으로 보여주는게 각 관점의 높이입니다. 알렌은 가장 처음 관심을 두어야 하는 다음 할일(Next Actions)을 활주로라고 부릅니다. 그다음 관점인 프로젝트는 10,000 피트, 다음 관점인 관심영역 및 역할은 20,000 피트 이런 식이죠. 비행기가 고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공중에 뜨는 겁니다. 활주로에서 이륙해야 10,000피트, 20,000피트에 이를 수 있듯이 먼저 가장 기본적인 다음 할일들을 정리해야 마음을 더 높은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는 말이지요.


이 높이를 보고 단순히 다음 할일을 정리하고, 프로젝트->관심영역 순으로 차례대로 정리한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비행기도 올라갔다 내려오고, 필요에 따라 고도를 조정하듯이 관점의 높이를 올렸다가 내렸다가 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당장 눈 앞에 보이는 다음 할 일들을 다 정리해놓고 프로젝트 리스트를 보다 보니 새로운 할 일이 생겨날 수 있습니다. 비전의 관점으로 오년후 십년후 무엇을 하고 있을까 생각하다가 시작해야할 프로젝트가 생각날 수도 있습니다. 제어의 다섯가지 행동이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듯이 관점도 마찬가지 입니다. 


관점의 종류


1. 다음 할 일 (Next Actions)


말 그대로 눈 앞에 보이는 당장 해야할 구체적인 일들입니다. 제어 부분에서 포착과 명확화를 거친 후 정리를 하면 다음 할 일 리스트가 만들어 집니다. 두리뭉실한 일이 아니라 생각없이 당장 실행할 수 있는 일들이지요. 그게 바로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다음 할 일'의 관점에서 다룰 분야입니다. 


이때 물어야할 질문은 '이제 무엇을 해야하나'이지요. 다음 할 일들은 매일 리뷰하고 순서에 따라 실행해야 합니다. GTD를 사용하다 보면 하루에도 몇번씩 리스트를 보게 되지만, 최소한 한번은 다음 할 일 리스트를 점검하고 무엇을 실행할지 결정해야겠지요. 


2. 프로젝트 (Projects)


프로젝트라는 말에서 연상되는 것 그대로입니다. 한개 이상의 행동을 필요로 하는 일이지요. 예를 들어 여행 계획 짜기, 리포트 작성 등을 생각하면 됩니다. 관리를 위해서 프로젝트는 시작부터 끝까지 일년 이하인 일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 이상 걸린다면 일년 단위로 세분화 시키는게 좋습니다. 물어야할 질문은 '어떤 일을 마무리해야하나'입니다. 일을 생각할 때 연구, 완성, 구현, 디자인, 해결 등의 단어가 나온다면 프로젝트 관점의 대상으로 보면 됩니다. 


구현은 프로젝트 리스트를 만들고 각 프로젝트 별로 구체적 할 일을 리스트에 담으면 좋습니다. 각 프로젝트 리스트의 첫번째 할 일은 당장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일입니다. 자동으로 '다음 할 일'의 대상이 되지요. 프로젝트의 리뷰는 최소 매주 한번은 하는게 좋습니다. 진행 상황에 따라 구체적인 태스크를 변경하거나 추가/삭제할 수 있습니다. 


3. 관심 영역 및 역할 (Areas of Focus and Responsibility)


이 단계부터는 구체적인 행동보다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넘어갑니다. 관심 영역 및 역할은 각자 어떤 모자를 쓰고 있나를 생각하면 됩니다. 제 경우를 보면 저는 남편이고 아버지입니다. 로펌에서 일하는 변호사이고, 교회에서는 집사요 대학생들의 멘토입니다. 또한 저는 블로거이고 아마추어 사진가이기도 합니다. 물어야할 질문은 어떤 일이나 혹은 어떤 역할을 유지해야 하는가 입니다. 


우선 관심 영역 및 역할을 나열해야겠지요. 각 영역별로 정의를 내려보는 것도 좋습니다. 직무내역(Job Description)을 작성해보는 거죠. 그리고 영역별로 구체적인 관심 내용을 정리합니다. 체크리스트나 마인드맵이 좋겠지요. 예를 들어 저는 아내와의 관계를 잘 유지하기 위해 매일, 매주, 매달 할 일을 작성한 체크리스트가 있습니다. 이 관점의 리뷰는 매달 한번씩은 하는게 좋겠지요. 변화가 없더라도 한번씩 점검하면 무심히 넘어가고 있던 점들이 보일 수 있으니까요. 


4. 목적과 목표 (Goals and Objectives)


프로젝트가 일년 이하에 완성할 일이라면 '목적과 목표'에서 다루는 건 몇년 걸려 이루어야 할 장기적 프로젝트라 할 수 있습니다. 물어야할 질문은 '어떤 것을 이루고 싶은가?'입니다. 예를 들어,졸업 논문 작성, CPA 자격증 획득, 빚 청산하기 등을 생각할 수 있지요. 


우선 어떤 목적과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 나열해봅니다. 그리고 각 목표별로 아웃라인도 만들어보고 하부 프로젝트의 리스트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더 팬시하게 하려면 프로젝트 플랜을 만들어 볼 수도 있습니다. 마인드 맵으로 대체할 수도 있구요. '목적과 목표' 관점의 리뷰는 최소한 일년에 한번 정도는 해야합니다. 연초에 한번, 여름 휴가때 한번 정도가 좋지 않을까 싶네요. 


5. 비전 (Vision)


이제 방향과 이상을 생각할 때입니다. 이런 걸 생각해볼 수 있지요. 내가 성공한다면 (성공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요) 어떤 모습일까? 아니면 쉽게 5년후 어떤 모습으로 있기 원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원하는 비전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개인 차원의 비전이 있을 수도 있고, 조직 차원의 비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조직이라면 '어떻게 사회에 공헌하고 싶은가?'와 같은 질문을 할 수 있지요. 


여기부터는 어떻게 구현하고 관리할지 좋은 답은 없습니다. 간단한 리스트일 수도 있고, 대략 기술한 아웃라인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비전과 다음에 다룰 의미와 원칙을 담아 사명선언서(Mission Statement)를 작성하는 것도 아주 좋습니다. 일곱가지 습관에서 소개한 사명선언서와 별로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최소 일년에 한번, 혹은 중요한 변화(졸업, 결혼, 이직 등)가 있을 때 한번씩 들여다 보며 삶의 방향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6. 의미와 원칙 (Purpose and Principles)


"왜"라는 질문을 할 때입니다. 나는 왜 프로젝트 A를 하고 있나. 왜 나는 박사를 따려고 하나 등 하고 있는 일의 의미를 묻는 순간입니다. 더불어 꼭 지켜야할 원칙이나 가치를 같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곱가지 습관에서 제시한 '자신의 장례식장에서 어떻게 평가를 받고 싶은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하면 의미와 원칙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비전과 마찬가지로 리스트나 아웃라인, 혹은 자기사명서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리뷰 시기도 마찬가지지요. 중요한 변화가 있을 때 우리는 의미와 원칙을 생각합니다. 미국에서 9.11이 발생했을 때,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 삶의 의미를 물었다고 하지요. 


마지막으로 여섯가지 관점을 요약한 표를 작성해 봤습니다. 각 관점에 대해 익숙해지면 이 표만 봐도 되도록 만들어 봤습니다...만 아직 부족하네요 ^^ 계속 보완해나가겠습니다. 








2014. 10. 19. 05:34

페이스북 친구이자 은사님의 아들이 "이 글에 대해 어떻게 쓰실지 매우 궁금"하다며 릴레이를 넘겼습니다. 그냥 넘어갈 수 없는 표현이더군요. 그래서 전에 같은 릴레이를 했었지만 또 적어봅니다. 그때는 영어로 쓰여졌거나 번역된 책만을 대상으로 했었지요. 이번엔 한글로 쓰여진 책도 포함하니 책 선택이 달라지네요. 


이런 릴레이 안 좋아하는 분도 있지만, 전 의미있다고 생각해요. 책 선택을 보면 그 사람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거든요. 여기 소개하는 10권의 책이 지금 제 모습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아마도 10%는 되지 않을까 싶네요. 책별로 왜 나에게 의미가 있는지 조금씩 적어봅니다. 순서는 (100% 정확하진 않겠지만) 읽었던 순서입니다. 


2007년에 썼던 나를 만든 다섯권의 책의 연장이기도 합니다. 


1. 삼국지 - 나관중 


중학교 시절 삼국지를 처음 읽었습니다. 정비석판이었죠. 다음에 박종화판을 읽었습니다. 잠시 식었던 애정을 되살린건 코에이의 삼국지 게임입니다. 오~랜 시간을 삼국지 인물들과 보냈죠. 이후에 이문열판을 여러번 읽고 요코하마 미츠테루의 삼국지도 두번 읽었습니다. 다음번엔 황석영판을 보고 싶네요. 


삼국지를 좋아하는 이유는 그 안에 사람 사는 원리들의 모든 예가 있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사람들과 사건들을 보면 세상사의 모든 모습들이 다 보이는 듯 합니다. 의리가 있고, 정치가 있고, 무협이 있고, 권모술수와 지략이 넘쳐납니다. 중간 중간 사람 사이의 정과 사랑도 보이구요. 몇년에 한번씩 읽어보고 싶은 책입니다. 


2. 끝없는 이야기 - 미카엘 엔데 


책을 좋아하지만 매력없는 왕따 바스티안은 서점에서 발견한 책을 몰래 가지고 와서 숨어 읽다가 환상계를 만납니다. 환상계 안의 아트레유의 모험을 따라가던 바스티안은 왕녀의 이름을 만들어 주면서 환상계의 위험을 구하고 스스로 환상계에 들어갑니다. 자신을 잃어버린 위험을 겪지만 결국 현실로 돌아오지요. 아트레유가 지어준 왕녀의 이름은 '어린 달님'입니다. 너무 예쁘지 않나요?  


제 상상력의 팔할은 미카엘 엔데에서 왔습니다. 모모부터 당시 한국에 소개된 미카엘 엔데 책을 열심히 찾아서 읽었죠. 고 2때 읽은 끝없는 이야기는 현실 부분과 환상 부분을 다른 색으로 인쇄했던 초판입니다. 무슨 이유엔지 잃어버렸습니다. 그리고는 초판처럼 다른 색으로 인쇄한게 나오지 않아 아쉽습니다. 


상상력이 없어진 현실의 각박함도 인간을 위협하지만, 땅을 디디지 않고 꿈 속에만 살면 자아를 잃어버리게 만듭니다. 끝없는 이야기는 이 메시지를 따듯한 은유로 풀어냅니다. 


3. 내면세계의 질서와 영적 성장 - 고든 맥도날드 


여러번 소개한 고든 맥도날드의 책입니다. 외면적인 면이나 행동적인 면이 아닌 내면세계라 지칭한 영적인 부분을 다스리는 것을 강조하지요. 내면의 영역을 동기부여, 시간사용, 지혜와 지식, 영적인 힘, 회복(휴식)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 어떻게 질서를 유지하며 성장해나갈지 깊이 있는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대학시절 활동한 IVF에서 이책은 필독도서였습니다. 하지만 이 책의 가치를 깨달은 건 30살 즈음이었습니다. 여러 문제로 참 힘든 시절을 보낼 때 이 책을 통해 다시 마음을 정돈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5년전에 개정판을 읽었고, 최근 시작한 북클럽을 통해 새로이 읽고 있습니다. 


4. 영혼의 자서전 - 니코스 카찬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를 쓴 카찬차키스의 자전적 소설입니다. 자신의 이야기에 약간의 환상을 섞어넣었죠. 원제는 "크레테인에게 보고"입니다. 크레테 사람인 자신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군데에 머물지 않고 평생 모험을 했던 자신의 삶을 돌아봅니다. 책을 읽으며 압도당하는 느낌을 받게 하지요. 최고의 번역 하면 이 책이 거론될만큼 번역도 좋습니다. 


카찬차키스는 한 곳에 머무는 것은 퇴보라고 말합니다. 그 말에 마음이 동한 저는 십년마다 직업을 바꾸며 살겠다 결심했고, 아내와의 첫 만남에서 그 생각을 말했습니다. 참 철없어 보이는 그 말이 신선했다고 하네요. 저와의 만남을 이어간 한 원인이 되었구요. 결국 제 결혼은 이 책의 덕을 좀 본 셈입니다 ^^ 그러니 아직 짝을 못찾으신 분들은 이 책을 한번 읽어보길 권합니다. 


5. 소명 - 오스 기니스 


부름 받았다는 것이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각자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하는 책입니다. 기니스는 우리가 "어떤 일을 하도록 부름받기 전에 먼저 어떤 존재가 되도록 부름받았다"고 이야기 합니다. 


대학원 시절, 공부에 마음을 두지 못하고 방황할 때, 신학교를 가야하나 고민했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도피성입니다. 그 마음을 돌리는데 스승님으로 모시는 목사님의 충고와 이 책의 통찰이 결정적 영향을 주었습니다. 작년에 다시 한번 읽었는데 역시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6.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 스티븐 코비 


자기계발서의 고전이지요. 이 책을 처음 접한게 94년이였습니다. 앞에서 말한 30살 즈음 참 어려운 시절을 보낼 때 맥도날드의 책과 함께 저를 붙잡아준 하나의 버팀목이 일곱가지 습관이었습니다. 


삶을 주도하라. 결과를 생각하고 행동하라. 소중한 것을 먼저 하라. 상호 이익을 추구하라. 이해시키기전에 이해하라. 시너지를 만들어라. 삶의 각 영역을 단련하라. 이렇게 일곱개의 습관은 처음에는 추상적으로 들립니다. 하지만 일곱가지 습관은 많은 상황에 적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원리입니다. 이후에 나오는 자기계발서의 여러 주장들은 일곱가지 습관에 기반을 두고 있지요. 원칙 중심의 삶. 영향력의 원/관심의 원, 방향의 중요성, 감정은행 등등. 이책 하나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무궁무진합니다. 


개인적으로 "성공하는..."이라는 제목이 불만입니다. '성공'이라는 말이 편향된 생각을 하게 만들거든요. 원어 그대로 "효과적인..."이나 "성숙한..." 같은 제목이 더 맞는듯 합니다. 


7. Good to Great - 짐 콜린스 


번역판 제목이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입니다. 원제의 의미를 상당히 축소시키는 제목이라 마음에 안듭니다. 일곱가지 습관이 개인에 대한 원칙이라면 Good to Great는 기업에 대한 원칙입니다. 하지만 꼭 기업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현실을 직시하라 같은 원칙은 누구나 기억해야할 원칙이지요. 


이 책을 쓴 짐 콜린스는 방법론 정립에 뛰어난 사람입니다. 이 책의 대상 회사를 선택할 때, 15년간 주식 수익률이 시장 평균 혹은 이하였다가, 변화를 거친 이후 15년의 수익률이 평균보다 최소 세배이상 되는 회사들만 고른 후 성장하지 못한 다른 회사들과 비교를 합니다. 그리고 성장한 회사들의 원칙을 방향이나 아이디어보다 사람이 중요하다. 현실을 직면하라. 잘하는 일을 근본으로 삼아라. 원칙을 지키는 문화를 가져라. 기술에 끌려가지 말고, 목적에 맞는 기술을 선택하라. 처음에는 힘들지만, 변화에 속도가 붙으면 변화는 지속된다 등으로 표현합니다. 


미국에서 평범한 프로그래머로 살던 제게 이 책은 더 넓게 생각하는 법을 알려주었습니다. 머물던 조직의 문제점을 깨닫게 되고, 문제를 개선해서 더 멋진 조직으로 만들고 싶은 욕심도 생겼구요. 관리자로, 이후 변호사로 진로를 바꾸는 시초가 된 책입니다. 마음의 씨앗은 영혼의 자서전이 뿌렸구요. 


8. 순전한 기독교 - C.S. 루이스 


라디오에서 일반인 대상으로 기독교를 설명한 내용을 바탕으로 쓴 책입니다. 기독교 최고의 지성 루이스는 기독교 안의 여러 교파들을 가로지르는 (카톨릭을 포함해서) 가장 근본적인 기독교의 진리가 무엇인지 이 책에서 정리하였습니다. 


2007년 초부터 2009년 중반까지 영적인 구도의 시간을 보냈습니다. 어떤 결론이든 달게 받겠다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부정하고 출발한 그 시간. 무신론자들의 책을 찾아서 읽으며, 질문하고 답을 찾았습니다. 신앙을 떠날 수 있었던 그 시간을 정리해준 책이 순전한 기독교 입니다. 왜 기독교가 아름다운 종교인지, 왜 기독교가 확실한 답인지 이 책은 알려줍니다. 


9.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 정민 


이 책은 다산을 '지식경영인'이라 규정하며, 그가 어떻게 이런 놀라운 업적을 남길 수 있는가를 지식경영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합니다. 하지만 지식경영을 넘어 다산의 일생과 그의 저작, 그리고 당시 학자들까지 아우르며 다산의 학문과 철학을 재창조해서 보여줍니다. 이 책을 지은 정민은 다산의 지식경영방법을 사용해서 이 책을 지었다고 하더군요. 


이 책을 읽고 이런 글을 남겼습니다. "롤 모델이 아쉬운 세상이다. 한때는 정직함과 명석함으로 존경받던 사람들이 세월이 흐르며 변질되고 퇴보하는 모습을 보게 되는 것은 너무나 마음 아픈 일이다. ,,, 하지만 여기 다산선생이 있다. 200년전 강진 땅의 유배 생활 속에서 누구도 따를 수 없는 학문의 정열을 불태웠던 다산. 백성을 사랑하고 나라를 사랑한, 그러면서도 가족과 제자들에 대한 정을 놓지 않았던 정말 멋진 사람. 그가 새로운 롤 모델로 다가왔다." 이 책을 읽으면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막 넘쳐납니다. 


10. 칼의 노래 - 김훈 


책을 적게 읽는 편이 아니었지만, 제 독서는 편향되어 있었습니다. 주로 종교, 경영, 인문이었고, 소설을 읽어도 장르소설만 읽었습니다. 추리소설과 판타지를 읽었죠. 이른바 세계명작을 싫어했습니다. 그랬던 제게 언어의 아름다움을 알려준 소설이 칼의 노래입니다. 한국문학에 '벼락같이 쏟아진 축복'이라는 이 책은 제게도 소설 읽기의 즐거움을 벼락같이 일깨워 주었습니다. 그 이후 해마다 다섯권 이상 소설을 읽고 있습니다. 


고뇌하는, 하지만 어떤 때는 감정이 전혀 없는듯한 이순신의 모습을 통해, 김훈은 세상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드러냅니다. 단어 하나를 고르려고 며칠 고민한다는 김훈의 문장은 잊혀지지 않습니다. 그의 스타일을 따라 몇 편을 글을 쓰고 제 문장에도 그의 흔적이 남아있지요. 


마지막으로 이전에 한글 책을 제외하고 선택한 열권의 책을 소개합니다. 

1. The Road Less Traveled - M. Scott Peck 

2. Mere Christianity - C.S. Lewis 

3. Ordering Your Private World - Gordon MacDonald 

4.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 Stephen R. Covey 

5. Getting Things Done - David Allen 

6.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Luo Guanzhong 

7. Good to Great - Jim Collins 

8. Report to Greco - Nikos Kazantzakis 

9. The Never Ending Story - Michael Ende 

10. The Lord of the Rings - J.R.R. Tolkein




2014. 10. 14. 12:00

페이스북에 동성애 커플의 웨딩케익 만드는 것을 거부했다고 15만불 벌금을 내야될 제과점에 대한 기사를 소개하며 역차별이라는 의견을 제시한 후, 여러 이야기가 오갔습니다. 그 동안 나눈 이야기를 포함해, 제 생각과 입장을 정리해야겠습니다. 저는 두개의 주제를 다루려 합니다. 신앙의 문제와 법의 문제입니다. 연관이 있지만, 독립된 생각입니다. 아마 동성애 커플과 기독교인의 위치가 바뀌었더라도 저는 역차별이라 생각했을 겁니다. 


먼저 크리스찬으로서 동성애를 어떻게 보는가입니다. 이 문제는 현대 기독교를 가장 곤혹스럽게 하는 질문일 겁니다. 가장 쉬운 행동은 인정하는 겁니다. 발판은 마련되었습니다. 미국도 그렇고 한국도 그렇고 동성애를 더 많이 인정하는 추세입니다. 아니 오히려 동성애를 반대한다 말하면 공격을 받습니다. 쉽게 성경의 가르침은 시대에 맞추어 다르게 해석해야한다는 포지션을 취하면 됩니다. 그럴수 있습니다. 구약의 많은 율법은 이미 현대에 적용되지 않는다 여겨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는 성경이 동성애에 대해서는 명확히 잘못되었다 말한다 믿습니다. 그래서 저는 동성애를 죄라고 생각합니다. 누군가 성경을 들어 저를 설득하지 않는 이상 이 생각을 바꿀 의향은 없습니다. 그렇다고 동성애가 "더 나쁜" 죄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내가 매일 짓고 있는 죄와 마찬가지인 여러 죄 중의 하나입니다. 그렇기에 동성애자를 미워하지 않습니다. "나는 저들보다 더 선해"라고 말할 수 있는 인간은 아무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틀린 것을 그저 다르다라고 인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병욱이 죄를 지었다 말하는 것처럼 동성애도 고쳐야할 죄라고 저는 믿습니다. 요즘 세상에 공공연하게 이런 말을 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압니다. 많은 이들의 마음에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미안합니다. 저를 욕하는 이들도 많을 겁니다. 그 욕 달게 받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성경이 동성애에 관해서는 명확하게 말한다 믿습니다. 


저는 법을 공부했습니다. 그렇기에 차별이라는 주제에 민감합니다. 저는 어떤 차별도 반대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법으로 막아야할 차별과 법으로 보호받아야할 개인의 의사표현 사이의 선을 긋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극단적인 예를 들어보죠. 제과점 주인이 전두환의 생일 케익을 주문 받았다고 합시다, 전두환이 한 짓을 싫어해 그 주문을 거절한다고 법으로 처벌을 받을까요? 전두환이 개인적으로 기분나쁘다고 어떤 행동을 취할 수는 있지만, 정부가 그 제과점 주인에게 벌금을 물리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사람들은 칭찬할 겁니다. 반대로, 흑인이기에 케익을 만들어줄 수 없다고 한다면 당연히 법으로 처벌받아야 합니다. 


이 양극단 사이 어딘가에 선을 그어야합니다. 어디서부터 법으로 금지해야할 차별이 시작하는지요. 여러 요소를 생각해야 합니다. 왜 거절했는지, 거절당한 집단/개인이이 보호받아야할 약자인지. 삶의 기본적 권리가 침해되었는지, 거절당함으로 겪게되는 불이익이 얼마나 큰지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오레곤주에는 Public Accommodation이 성적지향을 이유로 서비스 제공을 거절하면 법을 어긴 것이라 명시했더군요. Public Accommodation은 광범위한 문구입니다. 손님을 상대한다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고 보면 됩니다. 제과점은 당연히 포함되구요. 오레곤은 미국 헌법이나 다른 주에 비해 동성애자를 위한 보호에 앞서가는 주인듯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과점 주인에게 별 선택의 여지가 없어 보입니다. 항소심에서 벌금 액수를 줄일 수 있을지 몰라도 결정 자체를 뒤집을 수는 없을 겁니다. 


이 판결을 보는 마음이 편하지는 않습니다. 기본적 권리도 아니고 거절당함으로 겪는 불이익이 크지도 않은데 파산으로 몰고 갈 15만불의 벌금이 매겨지는 상황이요. 그래서 역차별이라 생각한 겁니다. 제과점 주인은 찬성하지 않는 동성애 결혼에 자신이 정성들여 만든 케익이 사용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화가가 자신의 작품이 새누리 당사에 걸리는 것을 거부할 수 있는 것처럼요. 제게는 동성애 커플이 인간의 기본 권리에 있어 차별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듯, 제과점 주인이 자신의 신앙을 표현할 수 있는 권리도 중요합니다. 


세상은 변해갈겁니다. 미국에 살고 있는 저로서는 동성애자가 사회적 약자라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이미 보호받고 있고, 오히려 동성애에 대한 자신의 신앙을 표현하는 자들이 공격받는 세상입니다. 이전에 가해졌던 차별을 보상하기 위해 밸런스를 맞추려고 하는 거지만, 중심은 어느새 반대쪽으로 기울었다고 느껴집니다.


한가지 이해를 구합니다. 기독교인은 동성애자를 미워하지 않습니다. 성경이 죄라 말하는 것을 죄라고 동의하는 겁니다. 물론 동성애 혐오를 참다운 신앙이라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을 압니다. 잘못입니다. 어쩌면 그 제과점 주인도 동성애 혐오자일지도 모르죠. 그렇다면 동정하고 싶지는 않네요. 


말은 많이 적었는데 결론이 안내려지네요. 어려운 문제입니다. 기독교는 앞으로 더 이 문제로 곤혹스러워할 겁니다. 저도 마찬가지구요. 아쉽지만 아직 해결책은 보이지 않습니다.

'신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판적 지지  (2) 2014.10.30
한국인터넷선교네트워크  (0) 2014.10.24
[간단평] 위기에 처한 복음주의  (0) 2014.09.24
어떤 상황에서든 감사합니다  (0) 2014.08.31
청년에게 권하는 5권의 신앙서적  (3) 2014.08.21


2014. 10. 12. 12:26

GTD 혹은 나아가 시간/행동 관리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상황에 치여서 사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제어하며 사는 겁니다. 더불어 상황을 제대로 제어하려면 단기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보는 관점도 가져야 합니다. 한마디로 GTD v2.0은 제어와 관점, 그 두개의 축의 조화로운 운영입니다.


GTD v2.0 생활에 적용하기


GTD의 세부사항을 보기 전에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나의 예로서 제가 GTD를 어떻게 활용하는가를 설명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사용하는 GTD 어플은 ToDo Cloud입니다. ToDo Cloud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0. 회사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 커피를 한잔 빼는 일입니다 ^^ 커피를 들고 모니터 앞에 앉아 ToDo Cloud의 웹버전으로 갑니다. iPhone이나 iPad에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입력량이 클 때는 웹버전이 훨씬 편하기 때문입니다. 


1. 매일 반복되는 태스크로 Daily Review를 설정했습니다. 5개의 서브태스크가 있습니다. 먼저 마음 속에 있는 해야할 일을 다 입력하고, 휴대용 Inbox를 점검하고, 이메일 Inbox를 점검하고, 보이스메일을 점검합니다. (GTD v2.0의 Capturing에 해당합니다.)


2. Inbox안에 담긴 태스크를 하나씩 처리합니다. (Daily Review의 서브태스크중 하나입니다.) 할 일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는 태스크를 변경하거나 서브태스크를 만듭니다. 그리고 분류를 합니다. 제 ToDo Cloud에는 4개의 리스트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Next, Repeating, Reference, Someday입니다. 해야할 일중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일, 예를 들어 자동차 할부금 납부 같은 일은 Repeating으로 분류되고 그 밖의 다른 일은 Next에 담습니다. 그리고 참조 자료는 Reference, 당장 하지 않을 일은 Someday에 담습니다. (GTD v2.0의 Clarifying과 Organizing에 해당합니다.)   


2.1 GTD는 Context를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집, 전화, 사무실 등의 Context를 설정하면 집에 있을 때 집 Context가 설정된 일에만 신경쓰면 된다는 겁니다. 그런데 저는 Context에 신경을 덜 쓰게 되더군요. 그건 보통의 업무가 5~6시간 걸리는 일이고 서브태스크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에 태스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또 Due Date를 설정하기에 그날의 태스크가 10개 정도로 정리되기에 굳이 Context를 나눌 필요가 없는 겁니다. 작은 일을 많이 처리해야하는 직업이라면 Context를 사용할 필요가 있겠지요.     


3. Next에 있는 일을 처리합니다. 이 리스트는 수시로 봅니다. ToDo Cloud에 알람을 설정해 아침 10시, 오후 4시에 리스트를 다시 보게도 해놨습니다. (GTD v2.0의 Engaging에 해당합니다.)


4. 수시로 태스크를 정리합니다. Next로 분류했지만, 당장 못할 거라는 걸 알면 미련없이 Someday로 바꿉니다. 불필요한 태스크는 지웁니다. 빠진게 있으면 추가합니다. (GTD v2.0의 Reflecting에 해당합니다.)


5. 분기별로 Perspective Review라는 태스크가 생기도록 설정했습니다. 이때 관점을 달리하며 제 상황을 분석합니다. 당장 급한 일중 처리 못한 일, 단기/중기 프로젝트, 제 역할을 감당하기에 필요한 일, 목표와 비전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일을 점검하고 필요한 태스크를 만듭니다. 


6. 반년에 한번씩 서랍/서류정리 태스크가 생깁니다. 말 그대로 주변 정리입니다. GTD의 Full Sweep을 반년에 한번씩 하자는게 목적인데, 사실 게으름에 잘 못합니다. 그래도 매번 이 태스크를 보면 최소한 몇군데는 정리를 합니다.    


GTD 제어 프로세스


보통 GTD라고 말하면 GTD의 5단계(Collect, Process, Organize, Review, Do)를 말합니다. 하지만 위의 예에서 보이듯이 GTD 5단계는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단계보다는 5가지 행동이라고 보는게 적절합니다. 그러면 그 다섯가지 행동을 조금더 자세히 설명할까 합니다. 이후에 나오는 내용은 전에 쓴 GTD 따라잡기 #1의 내용을 기반으로 GTD v2.0에 맞게 변경한 것입니다.  

 

사람들 마음에는 보통 미뤄놨던 일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계속 속삭이지요. 그 중에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데, "해야지"하는 마음을 먹었었기 때문에 계속 신경을 쓰게 하는 일도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지요. 중요한 일인데 그냥 머리 속에 담아두고만 있기도 합니다.


GTD의 기본 전제중 하나는 사람의 머리는 기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생각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기에 많은 것을 기억할수록, 생각할 수 있는 여유는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전화번호를 듣고, 어딘가에 기록하기 전까지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계속 되내어본 경험이 있는 분은 동감할 것입니다.

"해야하는데 하지 못한 일"을 "열린 고리 (Open Loop)"라고 부릅니다. GTD의 첫번째 원칙은 모든 열린 고리를 머리에서 꺼내어 외부에 기록하는 것입니다. 두가지의 목적이 있습니다. 앞에서 이야기한데로 기억하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기 위해서 입니다. 그리고 생각이 섞이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누구와 통화하면서 프로젝트 세부 계획을 세운다고 해보세요. 서로에게 영향을 줍니다. 여러가지 생각을 머리속에 간직하고 있으면 그걸 피할 수가 없지요.

두번째 원칙은 그렇게 꺼낸 "열린 고리"들을 믿을 수 있는 시스템에 담고 규칙적으로 검토하며 처리하는 것입니다. 처리를 할 때는 한번에 한가지 생각만 합니다. 이를 위해 열린 고리를 외부에 기록합니다.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GTD는 다음의 다섯가지 행동을 제안합니다. 그 다섯가지 행동을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그런데 GTD는 처리방법이지 형식이 정해져 있는 시스템이 아닙니다. 종이 폴더와 이면지만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ToDo Cloud 혹은 Pocket Informant로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검색을 해보면 온갖 다양한 방법으로 GTD를 구현해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중요한 건 자신에게 맞는 "효과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1. 포착 (Capture)

모든 열린고리를 포착하는 행동입니다. 열린고리는 사방에 널려있습니다. 카드청구서, 동창회 초청 이메일, 청첩장, 책상에 싸여있는 서류들... 그리고 머리속에 맴도는 생각들. 이 모든 것을 모읍니다. 포착하고 모으는 것 이외 다른 것은 아직 하지 않습니다. 다만 버려도 되면 과감하게 버립니다. 

이를 위해 수집함(Inbox)이 필요합니다. 먼저 실제 물건을 담기 위한 상자가 필요합니다. 모든 것을 다 담습니다. 정리안된 서류도 넣고, 부피가 큰 건 종이에 항목을 적어서 넣구요. 처음 회사와 집에 있는 정리안된 서류들을 수집하니 라면상자로 두개는 족히 나오더군요. 몇년동안 들쳐보지 않았던 곳은 포기한 상태였는데도 그렇습니다. 

물리적 수집이 끝나면, 머리속의 생각을 담습니다 (Mind Sweep). 생활의 각 영역(회사, 가족, 개인, 취미 등등)을 점검하며 "이거 해야하는데" 하는 것이 있으면 다 적습니다. 몇년 미룬 계획부터 오늘 아침 일어난 일까지. 알렌이 제시한데로 종이하나에 생각하나씩 적어 물리적 수집함에 담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ToDo Cloud의 Inbox에 담습니다.  

2. 명확화 (Clarify)

수집함에 모아논 열린고리들을 하나씩 꺼내어 무엇을 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두가지 지켜야할 원칙이 있습니다. 1) 순서대로 한번에 하나씩.  2) 수집함에서 꺼낸 것은 다시 집어넣지 않는다. 

명확화에서 가장 중요한 질문은 "뭔가 해야할 일이 있는가?"입니다. 열린 고리에 대해 할 일이 없다면 갈 수 있는 곳은 세군데입니다. 1) 버린다 2) 참고항목(Reference)으로 철해둔다 3) 아직은 때가 아닐 경우 Someday/Maybe로 보낸다.

뭔가 할 거리가 있는 경우, 당장 "구체적으로" 무엇을 해야할까 생각합니다. 하나 이상의 행동을 필요로 한다면 프로젝트로 바꿉니다. 

GTD는 해야할 일이 2분내에 끝난다면 바로 해버리라고 제안합니다만, 꼭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저는 아무리 짧은 시간이 걸려도 신경이 분산되기에 일 처리는 나중에 하는 걸 좋아합니다. 


다음에 물을 질문은 그 일이 내가 할 일인가입니다. 내가 할 일이 아니면 다른 사람에게 넘깁니다. 


3. 정리 (Organize)

어떤 행동들은 명확화를 거치며 정리가 됩니다. Someday/Maybe나 Reference가 그렇지요. 아직 남은 열린고리에 대해 물을 질문은 언제/어디서입니다. 이에 따라 Due Date나 Context를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세부 리스트를 만들어 정리합니다.


이 단계에서 필요한 모든 정리를 마칩니다. 나중에 상황에 맞는 목록을 보고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요. 알렌은 일주일에 한번만 생각한다고 말합니다. 정리 단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거지요. 


GTD에서는 Context에 따른 설정을 제안합니다. @Computer/@집/@교회/전화/@OnLine등으로 처하게 될 상황에 따라 나누는 거지요. 분명 Context를 사용하는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분류 방법은 각자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계속 자신의 방법을 검토하며 효과적인 정리 방법을 찾는게 필요합니다. 


4. 반영 (Reflect)

열린 고리들을 믿을만한 외부시스템에 모두 기록을 한 후에, 자주 검토하며 실행합니다. 아무리 정리를 잘해도 들여다 보지 않으면 실행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언제든 볼 수 있는 스마트폰 앱이나 플래너가 잇점이 있습니다. 


반영은 양쪽 방향으로 이루어집니다. 정리된 태스크 목록을 보고 해야할 일을 수행하기도 하고, 상황에 맞게 저장된 태스크를 수정하기도 합니다. 또한 하루에 몇번씩 태스크를 검토하는 것 이외에 주간이나 월간, 혹은 분기별로 시간을 두고 검토하고 반영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알렌은 주간 검토(Weekly Review)를 제안합니다. 시간도 금요일 오후 점심 먹고 나서가 가장 좋다고 하네요. 일주일의 기억이 남아있으면서, 아직 처리 못한 것이 있으면 남은 몇시간내에 처리할 수 있으니까요. 

5. 참여 (Engage)

GTD v1.0과 v2.0의 가장 큰 차이는 참여 (Engage)입니다. 전에는 실행(Do)라고 불렀지요. 해야할 일을 단순히 실행하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현실이 말처럼 단순한 것은 아닙니다. Do에서 Engage로 명칭을 바꾼 것은 현실적 차이를 인식한 결과라 생각합니다. 더불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우선순위를 전략이라는 이름으로 고려하는 것도 달라졌습니다. 


참여란 포착및 명확화를 거쳐 정리된 태스크을 수행하는 과정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처한 상황의 여건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전략적 관점으로 어느 일이 중요한지 바라봅니다. 

2) 제한되는 요소를 생각합니다. 처리할 수 있는 상황인가? 시간은 충분한가? 힘은 있나를 봅니다. 

3) 태스크를 그 상황에서 수행할지 아니면 추가적인 명확화 과정을 거칠지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아래 그림은 GTD 프로세스를 Making it All Work에 맞추어 발전시킨 것입니다. 여기서 가지고 왔습니다. 조금 복잡해서 오히려 이해에 방해를 줄 수도 있지만, 제 설명을 참조하시고 보면 도움이 될 겁니다. 



===


원래 계획은 관점 프로세스의 전체적 설명까지 담으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양이 꽤 되네요. 관점 프로세스는 다음번에 설명하겠습니다.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