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7. 26. 17:45
블로그를 돌아다니다 우연히 이면우 교수님의 글을 읽게 되었다. 월간조선에 기고하신 "이공계 현실을 비판하다"라는 글이다.
내가 졸업한 산업공학과에서 인간공학을 가르치신 교수님. 학부과정에서는 딱 하나 인간공학만 가르치셨음에도, 그 과목 하나가 보통 과목 세개 정도 합친듯 힘들었었다. 다른 산업공학과 교수분들도 이면우 교수를 스승으로 모셨기에, 그 같은 횡포 ^^ 에도 어쩔 수 없었다.
대학원생이 시키는 일에 대해 세부전공이 아니라고 난색을 표하면 "학생이 전공은 무슨 전공. 아는 것도 없으면서" 하셨던 교수님. 이제 와서 생각하면 그분이 말씀 하신데로 "내안의 배터리를 완전 방전할 때까지" 열심히 노력하지 않았던 것이 후회가 된다.
교수님이 그렇게 열심이셨던 것을 알기에 지금의 이공계 현실에 대한 자조적인 진단은 안타깝기까지 하다. 혁신 혁신 말은 하지만, 정작 리더의 결단이 없는 부분에 그치는 혁신. 창의력을 강조하지만 세계 최초에 딸려오는 리스크는 부담하지 않으려는 회사들. 공대생이 실험을 할 수 없는 척박한 환경등. 지금은 내가 학교에 있었을 때보다 훨씬 좋아졌을 것임에도 세계와 경쟁하기에 우리 공대의 실정은 너무나 뒤쳐져 있나 보다.
그럼에도 이공계 회피라는 현상은, 그리고 그 현상을 몰고온 이공계에 대한 미비한 투자는 자본주의의 어쩔 수 없는 귀결이라고 생각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이 곧 힘이다. 그리고 자본을 가진 사람이 돈을 번다. 돈이 돈을 버는 사회라는 것이다.
워렌 버핏은 미경제계의 가장 영향력있는 사람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 사람이 하는 일이 뭔가? 나쁘게 이야기하면 결국 돈놓고 돈먹기다. 될성 싶은 회사나 투자 항목에 돈을 넣고 거기서 생기는 이득을 취하는 것이다. 이 사람이 스스로 창출해내는 가치가 뭐가 있나?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도 아니고, 인류가 모르던 새로운 과학이론을 만드는 것도 아니다. 워렌은 자본을 굴리는 법을 알기에 그리고 막대한 자본을 굴릴 수 있기에 지금의 위치에 있는 것이다.
기요사키가 말한 부자아빠의 비결이 뭔가? 부동산 투자를 하든, 주식 투자를 하든 결국 자본을 굴리라는 것 아닌가? 자본이 돈을 벌게 해준다는 것. 그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진리이다. 결국 돈 놓고 돈 먹기다.
이런 상황에서 이공계에 얼마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겠는가? 힘들여 박사를 받아도, 아무 미련없이 세탁소를 시작해 돈을 버는 것이 미국에 있는 교포들의 현실이다. 아무리 그럴듯한 회사를 다녀도, 거기서 나오는 것은 생활비에 불과하다. 정작 돈은 부동산이나 주식투자, 그리고 유산 상속으로 벌지 않는가? 그런데 누가 골치아프게 미적분을 하며, 약품 냄새 맡으며 실험실에서 젊음을 보낼려고 할까? 같은 약품 냄새 맡을거면 의사가 되거나 약사가 되지.
전세계는 자본주의의 광풍에 휩싸여 있다. 아무리 존엄한 인간을 외친다 한들 결국 사람들은 자본주의 논리에 맞추어 생각하고 판단할 것이다. 그건 누구라도 막을 수 없는 현실이다.
엔지니어에서 관리자로 후에 내 자신의 회사를 꿈꾸는 경영자로 진로를 바꾼 '변절자'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런 현실이 맘에 안든다. 슬프다. 이 세상에 살면서도 현실에 물들지 않기 위해, "개 같이 벌어서 정승 같이 쓰기 위해" 나는 아직도 오천명을 먹이는 사람이 되고 싶다.
더불어 이율배반적이지만 앞으로도 많은 사람이 그냥 학문이 좋아서, 그냥 자신의 일을 사랑하기에 현실 부적응인 채로 이공계에 매진했으면 한다. 이공계뿐 아니라 자본의 논리에 휩싸이지 않고 학문을 예술을 할 수 있기 바란다. 그들의 부인이, 그들의 자식이 그 '무능력'한 사람들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다면 그건 기분좋은 보너스일 것이다.
내가 졸업한 산업공학과에서 인간공학을 가르치신 교수님. 학부과정에서는 딱 하나 인간공학만 가르치셨음에도, 그 과목 하나가 보통 과목 세개 정도 합친듯 힘들었었다. 다른 산업공학과 교수분들도 이면우 교수를 스승으로 모셨기에, 그 같은 횡포 ^^ 에도 어쩔 수 없었다.
대학원생이 시키는 일에 대해 세부전공이 아니라고 난색을 표하면 "학생이 전공은 무슨 전공. 아는 것도 없으면서" 하셨던 교수님. 이제 와서 생각하면 그분이 말씀 하신데로 "내안의 배터리를 완전 방전할 때까지" 열심히 노력하지 않았던 것이 후회가 된다.
교수님이 그렇게 열심이셨던 것을 알기에 지금의 이공계 현실에 대한 자조적인 진단은 안타깝기까지 하다. 혁신 혁신 말은 하지만, 정작 리더의 결단이 없는 부분에 그치는 혁신. 창의력을 강조하지만 세계 최초에 딸려오는 리스크는 부담하지 않으려는 회사들. 공대생이 실험을 할 수 없는 척박한 환경등. 지금은 내가 학교에 있었을 때보다 훨씬 좋아졌을 것임에도 세계와 경쟁하기에 우리 공대의 실정은 너무나 뒤쳐져 있나 보다.
그럼에도 이공계 회피라는 현상은, 그리고 그 현상을 몰고온 이공계에 대한 미비한 투자는 자본주의의 어쩔 수 없는 귀결이라고 생각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이 곧 힘이다. 그리고 자본을 가진 사람이 돈을 번다. 돈이 돈을 버는 사회라는 것이다.
워렌 버핏은 미경제계의 가장 영향력있는 사람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 사람이 하는 일이 뭔가? 나쁘게 이야기하면 결국 돈놓고 돈먹기다. 될성 싶은 회사나 투자 항목에 돈을 넣고 거기서 생기는 이득을 취하는 것이다. 이 사람이 스스로 창출해내는 가치가 뭐가 있나?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것도 아니고, 인류가 모르던 새로운 과학이론을 만드는 것도 아니다. 워렌은 자본을 굴리는 법을 알기에 그리고 막대한 자본을 굴릴 수 있기에 지금의 위치에 있는 것이다.
기요사키가 말한 부자아빠의 비결이 뭔가? 부동산 투자를 하든, 주식 투자를 하든 결국 자본을 굴리라는 것 아닌가? 자본이 돈을 벌게 해준다는 것. 그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진리이다. 결국 돈 놓고 돈 먹기다.
이런 상황에서 이공계에 얼마나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겠는가? 힘들여 박사를 받아도, 아무 미련없이 세탁소를 시작해 돈을 버는 것이 미국에 있는 교포들의 현실이다. 아무리 그럴듯한 회사를 다녀도, 거기서 나오는 것은 생활비에 불과하다. 정작 돈은 부동산이나 주식투자, 그리고 유산 상속으로 벌지 않는가? 그런데 누가 골치아프게 미적분을 하며, 약품 냄새 맡으며 실험실에서 젊음을 보낼려고 할까? 같은 약품 냄새 맡을거면 의사가 되거나 약사가 되지.
전세계는 자본주의의 광풍에 휩싸여 있다. 아무리 존엄한 인간을 외친다 한들 결국 사람들은 자본주의 논리에 맞추어 생각하고 판단할 것이다. 그건 누구라도 막을 수 없는 현실이다.
엔지니어에서 관리자로 후에 내 자신의 회사를 꿈꾸는 경영자로 진로를 바꾼 '변절자'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런 현실이 맘에 안든다. 슬프다. 이 세상에 살면서도 현실에 물들지 않기 위해, "개 같이 벌어서 정승 같이 쓰기 위해" 나는 아직도 오천명을 먹이는 사람이 되고 싶다.
더불어 이율배반적이지만 앞으로도 많은 사람이 그냥 학문이 좋아서, 그냥 자신의 일을 사랑하기에 현실 부적응인 채로 이공계에 매진했으면 한다. 이공계뿐 아니라 자본의 논리에 휩싸이지 않고 학문을 예술을 할 수 있기 바란다. 그들의 부인이, 그들의 자식이 그 '무능력'한 사람들을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다면 그건 기분좋은 보너스일 것이다.
'세상/사람 바라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網이 恢恢하니 疏而不漏라 (0) | 2007.09.07 |
---|---|
한국 사람들 정말 일 못하나? (8) | 2007.09.05 |
화려한 휴가를 봤습니다 (2) | 2007.08.22 |
꿈꾸는 자만이 자유로울 수 있다 - NHN 김범수 대표 (2) | 2007.08.19 |
박성수 그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가? (0) | 2007.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