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 12. 15:58
[책 그리고 글]
우리가 사랑해야 하는 것들에 대하여 - 조은 지음, 최민식 사진/샘터사 |
사진 한장이 백개의 문장보다 더 많은 것을 말할 수도 있다. 사진의 미덕이다. 대상을 그래로 보여주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무엇이 아닌가, 왜 그런가, 누구를 위해서 그런가, 언제 그런가, 어디에서 그런가를 말할 수도 있는 것이 사진이다. 한장의 좋은 사진은 세상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있다. 1
사진도 글과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모양이 있다. 까르띠에 브레송은 결정적 순간(Decisive Moment)을 보여주고, 엔젤 아담스는 자연의 진중함을 보여준다. 로버트 카파는 역사적 순간을 증언한다. 인간이라는 주제에 집중, 삶의 표정을 담는 작가가 있다. 최민식 작가는 그런 작가다.
50년 동안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사진에 담아온 최민식 작가의 사진중 97장에 조은 시인이 글을 더하였다.
열장 남짓의 사진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람이 대상이고, 그들의 대부분은 "태어날 때부터 배경이 어두움 뿐인 사람들"이다. 갓난 아이를 돌봐야 하는 어린 여자 아이, 삶에 지친 노동자, 거리의 걸인, 길가에 누워자는 아이와 아버지, 죽은 아들의 사진을 들고 시위의 현장에 선 어머니... 전쟁 후의 가난하고 어려웠던 시절부터 2000년대 풍요함 속의 빈곤까지, 그의 시선은 줄곳 소외된 곳, 아파하는 이웃에 머물러 왔다.
하지만 2009년의 오늘날, 이전 세대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풍요한 현재, 그의 사진을 바라보는 감정은 단순하지 않다. 사진 속에 보이는 사회적 절대빈곤은 사라졌다. 생활수준이나 근무환경은 훨씬 좋아졌다. 치열한 경쟁 속에 더 나은 미래만 바라보며 분주하게 움직이는 우리들에게 최민식의 사진은 불편하기까지 하다. 그래서 어쩌란 말인가. 나는 이런 삶이 싫다. 나는 더 나은, 더 풍족한 삶을 살고 싶다. 어느 누가 사진 속의 모습처럼 살고 싶어한단 말인가.
그래도 그의 사진을 보아야하는 것은 잊지 않기 위함이다. 이미 지나간 혹은 주위에 보이지 않는 모습이지만, 그것은 누군가의 과거였고 누군가의 현재이며, 누군가의 미래일 것이다. 고개를 돌리면 수많은 소외된 이웃이 있다. "절망만을 길어올리는" 체념이 있다. "평생 일으켜 세워야할 삶이 안쓰러운" 아이들이 있다. 상대적 빈곤으로 인해 없는 자들의 겨울은 더 춥게만 느껴진다. 그들의 "내일은 오늘과 달라져야 한다."
최민식은 삶의 저 낮은 곳을 지내온 이들의 시선을 같은 높이에서 잡아냈다. 삶의 무게를 느낄 수 있는 눈. 어떤 이에게 삶은 참으로 가혹한 것이다. 하지만 그 눈은 나의 눈일 수 있고, 내 친구의 눈일 수 있다. 오늘 아침 스쳐 지나간 그 남자의 눈일 수도 있다. 우리 삶에는 아직 아픔이 있음을, 우리는 서로 서로 도우며 살아가야 함을, 때로는 고개를 돌려 낮은 곳을 바라봐야 함을 그의 사진은 가르쳐 주고 있다. 사람, 결국 사람이야말로 진정 "우리가 사랑해야 하는" 것이라 이야기한다.
"가족이라는 이웃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사랑만이 어둠을 역전시킨다."
- 좋은 사진을 찍는 스물한가지 방법 (http://futureshaper.tistory.com/92) [본문으로]
'책 그리고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렬한 문장이 주는 상쾌함 (11) | 2009.01.24 |
---|---|
[서평] 부의 미래 (Revolutionary Wealth) (12) | 2009.01.24 |
[서평] 나는 학생이다 (10) | 2009.01.05 |
[연말 특집] 2008년에 올린 포스팅 베스트 7 (10) | 2008.12.29 |
[연말 특집] 2008년에 읽은 책 베스트 5 (20) | 2008.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