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564)
책 그리고 글 (87)
미래 빚어가기 (79)
시간/행동 관리 (44)
조직을 말한다 (16)
마케팅 노트 (14)
짧은 생각들 (33)
사랑을 말한다 (27)
세상/사람 바라보기 (40)
그밖에... (83)
일기 혹은 독백 (85)
신앙 이야기 (24)
음악 이야기 (19)
법과 특허 이야기 (13)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Outliers'에 해당되는 글 1건
2009. 2. 1. 07:34
장영주는 우리가 자랑하는 세계적인 바이얼리니스트다. 네살때 바이얼린을 시작 여섯살에 줄리어드의 (아이작 펄먼, 미도리등을 가르쳤던) 도로시 딜레이의 제자로 들어가고, 같은 해 필라델피아 뮤직홀에서 데뷰했다. 9세 데뷰앨범 레코딩(최연소), 11세 베를린필과 협연(메뉴인과 같이 최연소), 19세 에버리 피셔 프라이즈(Avery Fisher Prize), 24세 할리우드볼 명예의 전당(최연소)등 천재소녀로 시작 끊임없이 성장해가고 있다. 그녀의 성공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타고난 천재성'과 '끊임없는 노력'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일까? 천재성과 노력만 있으면 모두 장영주처럼 성공할 수 있을까? [각주:1]


아웃라이어 - 10점
말콤 글래드웰 지음, 노정태 옮김, 최인철 감수/김영사

아웃라이어(Outlier)는 원래 통계 용어다. 검출된 값중 다른 값들에 비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값을 말한다. 실험결과 분석시 아웃라이어는 보통 제외한다. 이상한 결론을 만들기 때문이다. 그 용어를 말콤 글래드웰이 빌려온 것이다. 좋은 선택이다. 책에서 예로 들은 비틀즈나 빌게이츠 모두 보통 사람들과는 판이하게 다른 사람들이다. 블랙스완이니 롱테일이니 하며 두드러진 것에 관심이 많은 세상이다 보니 아웃라이어라는 용어도 시류에 편승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굳이 통계 용어를 가져다가 성공한 사람을 지칭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웃라이어>는 잘하는 사람은 더 잘하게 된다는 성공의 부익부 빈익빈으로 시작한다. 그 이유로 10,000시간의 법칙을 든다. 비틀즈, 빌게이츠, 모짜르트, 체스마스터등 두드러진 성공에 이르기까지는 대략 잡아 십년, 10,000시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십년법칙은 하워드 가드너, 공병호등 여러 사람이 이야기한 성공의 조건이다. 한가지 일에 십년정도 노력을 기울여야 성공할 수 있다는 원칙으로 새로울 것은 없다. 모두가 알고 있다. 지키기가 어려울 뿐 ㅡ.ㅡ

'결국 열심히 하라는 이야기네.'라 생각할 수 있지만 아니다. <아웃라이어>는 성공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가 하는 일인칭의 책이 아니다. '성공'은 어떻게 오는가 하는 삼인칭의 책이다. 말콤은 질문한다. 만시간의 노력을 들일 수 있는 기회가 누구에게나 있는가? 그리고 만시간의 노력을 들이면 누구든지 성공할 수 있는가? 대답은 둘다 'No'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재능이나 노력 이외에도 기회(Opportunity)와 유산(Legacy)이 필요하다.

기회나 유산이 성공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말콤은 여러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캐나다의 뛰어난 하키 선수들 중 많은 수가 1월부터 3월에 태어났다는 것, 같은 뛰어난 IQ를 가지고 출발했지만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아이들, 한국을 비롯 아시아 학생들이 수학에 뛰어난 이유, 켄터키 할란에서 벌어진 복수극들, 칼 801의 괌에서의 추락사건, 빌게이츠와 스티브 잡스 둘 다 55년생인 이유. 관련없어 보이는 케이스들이지만 밑바닥에는 한가지 원리가 흐르고 있다. 작은것들이 쌓여 큰 차이를 만들어내고 그 결과가 성공이나 실패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1월 1일 기준으로 선수의 학년을 나누는 캐나다에서는 1월에 태어난 아이는 12월에 태어난 아이보다 하키연습을 할 시간이 많다. 연습할 시간이 많으므로 더 좋은 팀에 선발이 된다. 더 좋은 팀이기에 더 열심히 연습을 시키고, 시간이 지날수록 격차는 더 벌어지게 된다. 작은 차이에서 출발하지만 나중에는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빌 게이츠는 학생시절 자유롭게 컴퓨터를 사용할 기회가 주어졌고, 프로그래밍에 시간을 많이 보내며 준비가 되어있는 상태에서 퍼스널 컴퓨터의 탄생을 맞이했다. 빌 게이츠와 같은 시기의 아이들 전부 컴퓨터를 쓰고 싶은데로 쓸 수 있는 기회를 가진 것이 아니었고, 프로그래밍 연습을 많이 했던 사람들 모두가 퍼스널 컴퓨터와 같이 새로운 시기를 맞이하는 것은 아니다. 누구나 다 열심히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열심히 한다고 시기를 잘못 만나면 소용이 없다.

장영주는 천재적 재능을 가지고 있고 또 엄청난 노력도 한다. 하지만 그의 아버지 장민수가 도로시 딜레이의 제자였기에 남들보다 더 빨리 출발할 수 있었다는 것도 분명히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계층간의 간격이 커지는 것도 같은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개천에서 용나기는 더 힘들어졌다. (미국의 경우) 학기중에는 모든 아이들이 성적에서 비슷한 진보를 보인다. 하지만 부유한 집 아이들은 3개월간의 여름 방학동안 꾸준히 관리를 받으며 실력이 느는 반면 가난한 계층의 경우 오히려 후퇴한다. 이런 차이가 초등학교 기간 내내 쌓이면 졸업할 때쯤 되면 확실하게 차이가 난다.

이쯤되면 슬슬 기분이 나빠진다. 그렇다면 운도 없고 빽도 없는 나 같은 놈은 그냥 이렇게 살다 죽으라는 거냐. 답은 'Yes AND No'다. 많은 사람들이 평범하게 살다 평범하게 죽는다. 정해진 범위에 머무를 뿐이다.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뉴욕의 사우스 브롱크스 지역, 가난하고 위험한 지역에 KIPP이라는 학교가 있다. 부모들 대부분 대학에 못가고, 아이들 지원도 못해주는 형편이지만 졸업할 때쯤이면 84프로의 학생들이 평균이상의 수학 성적을 보인다. 이유는? 간단하다. 보통학교에 비해 KIPP는 30~40% 정도 수업시간이 길다. 부모가 지원못해주는 것을 학교가 대신해주는 거다. '열심히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이다. 그렇다면 그런 기회조차 없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하나? 어쩔 수 없다. 스스로 만들수 밖에.

성공이란 결국 남들보다 더 많이 나아가는 거다. 어떤 이는 기회가 있어 몇미터 점프를 할 수도 있고, 어떤 이는 환경의 영향으로 몇미터 더 앞에서 출발할 수도 있다. 그게 없다면 열심히 하면 된다. 다시 원론으로 돌아왔다.


말콤 글래드웰은 뛰어난 이야기꾼이다. 일반화의 오류가 없을리 없는 주장임에도, 다양한 꺼리를 엮어 탁월하게 엮어놓은 그의 이야기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무엇보다 성공을 개인의 노력으로만 바라보던 기존 시점에 비해 다른 시각을 보여주는 것이 좋았다. 베스트셀러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에 읽지 않았던 그의 다른 책들을 찾아서 읽어봐야겠다.

  1. 장영주는 이 책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하지만 장영주와 같은 시기에 천재로 출발한 다른 바이얼리니스를 비교하는 것도 아웃라이어에 대한 흥미로운 케이스 스터디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본문으로]


prev"" #1 next